윤석준 대구시의원이 23일 열린 대구시의회 제232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심각성과 폐해를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했다.윤 의원이 이날 인용한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중독 동향 보고서’에 의하면 2014년 우리나라 인구대비 스마트폰 보급률은 79.4%이며, 그 중 초·중·고교생의스마트폰 보유율은 81.5%에 이르고 초등학생 10명 중 6명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여성가족부의 ‘2013·2014 초중고교생 스마트폰중독 위험수준 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학교 1학년 과 고등학교 1학년 중독 위험군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초등학교 4학년 중독 위험군은1만372명에서 1만 3183명으로 늘어나 스마트폰 중독 연령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대구시교육청이 지난 2013년 5월 8일부터 5월 24일까지 시내 초·중·고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과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결과 스마트폰 특별지도대상자군 비율이 6.7%로 나타났다. 인터넷 특별지도대상자 2.1%보다 3배나 높은 비율이다. 윤 의원은 “스마트폰은 우리 삶의 전반적인 분야에 영향을 끼치며 획기적인 변화들을 일으켜 온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이에 못지않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양날의 검과 같다”며 “특히 스마트폰 중독은 성인보다 성장기 아이들에게 더 치명적이며 상당수의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실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자기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초등학생들의 경우 척추측만증의 증가와 언어 파괴 현상 급증, SNS를 통한 학교 폭력 노출 등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도 있다.이러한 우려로 최근 무절제한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 내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기 사용을 학교장 재량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국회에 계류돼 있으며 90%이상의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학칙을 제정·운영하고 있다.일본은 2008년 현 단위로 학내 휴대전화 소지를 제한하는 조례를 제정했고 미국 뉴욕교육국은 2006년 공립학교에 학생이 휴대전화를 가지고등교할 수 없도록 규정했으며 프랑스 또한 2010년 초·중학교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했다.윤 의원은 교육청 주도하에 시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자기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고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 문화 조성을 위한 범시민 캠페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