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전방위적인 압수수색에 나서며 반부패 사정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포스코건설과 경남기업, 동국제강, 방위사업 중개업체인 일광공영 등 기업들이 검찰 수사망에 걸려 있다.기업 총수 일가와 임원들의 조직적인 비자금 조성 의혹, 역외 탈세 혐의 등을 포착한 검찰이 주목하는 것은 결국 ‘객관적 물증’이다.검찰이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각종 회계장부와 세무자료, 국내외 거래내역 등을 분석하며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수집하는데 주력하는 이유다. 계좌추적을 거쳐 의심스러운 금융거래내역을 쫒는 것은 물론이다.부인할 수 없는 물증은 거꾸로 진술을 거부하는 관련자들의 입을 여는 수단이 된다.“관련자 진술만으로 기소하지는 않는다. 혐의를 입증할 객관적 물증을 충분히 갖췄다”검찰 관계자의 말처럼 검찰이 수사를 마무리하는 기소 단계에서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보일 때는 관련자 진술과 일치하는 물증을 쥐고 있을 때다. 이 때문에 검찰과 수사의 표적이 되는 기업 간에는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대적인 검찰수사를 받았던 한 대기업 임원은 “검사와 수사관들이 압수수색을 나와 변호사와 통화를 하려는데 휴대전화부터 빼앗고 압수수색이 끝난 뒤에야 돌려주더라”며 “외부와의 연락을 극히 경계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장세주(62) 회장의 비자금 의혹이 불거진 동국제강 압수수색은 이례적으로 주말인 28일 토요일 오전에 진행돼 회사 관계자들을 당혹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