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는 30일 “현장에 기초하지 않은 재난·안전 계획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이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안전관리위원회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중앙(정부)에 있는 우리 모두가 현장의 리얼(real)한 것을 전제로 해놓고 오늘 회의를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이 총리는 “실제로 시도지사를 해보면 중앙에서 생각하는 것하고 완전히 다르다”며 “나는 2007년 태안 기름 유출로 130만명의 자원봉사자가 다녀갈 정도로 국가적인 재앙이었던 사고를 직접 겪었다”고 소개했다.이어 “그 당시 사고를 바라봤던 중앙정부의 인식과 도지사로서 내가 1년 가까이 고통스러웠던 것은 너무 큰 괴리가 있었다”며 “중앙부처에 그렇게 도움의 말씀을 드려도 중앙에서 지원했던 것은 거의 없었다. 부직포 하나 제대로 배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그는 “나는 전국에 있는 시군에 찾아다니며 호소를 하고 언론에 애걸복걸했다. 그 결과가 130만명이라는 자원봉사자가 다녀간 것”이라며 “그 것을 중앙부처 관리들이 알았겠느냐”고 강조했다.이 총리는 “장관과 기관장들이 ‘이것은 내 일이다’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답이 안 나온다”며 “이 자리에 함께한 장관과 중앙기관장들께서 안전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달라”고 주문했다.그는 “지난해 4월16일 이후 정부와 국가와 국민이 세월호 사고에 쏟은 에너지와 손실은 어마어마한 것”이라며 “이런 일이 다시 재발돼서는 안된다는 일념과 염원으로 오늘 회의가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세월호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 등 관계부처가 마련한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에 대해 논의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