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각장애인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로 일관하는가 하면 산책 나온 어르신들의 안전을 배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은 전국적인 현상이다. 심지어 경남대의 경우 장애인학생이 동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갖출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지난 해 손해배상 판결까지 받은 바 있다. 이처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부족이 대학가의 일반적 현상이라고 하지만 경북대의 경우이고 보면 서운한 일이다.실정을 보면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3곳), 사회과학대학, 과학영재교육원-복지관, 경북대 정문-수의과대학의 인도에 설치된 점자블록이 훼손된 상태로 방치됐다. 또 서문-백양로 70여m와 일청담-테니스장 새 200여m 구간에 플라타너스와 벚꽃 뿌리로 인해 인도가 파헤쳐 지고 울퉁불퉁 튀어 올라와 통행에 안전을 위협해도 수년째 방치되고 있다. 또 경북대 정문-수의과대학 입구 방향의 점자블록도 총 42개 중 22개가 찢겨져 아예 없으며 20개는 반파된 상태다. 이외 사회과학대학 경비실 앞과 과학영재교육원-복지관 새의 점자블록도 성한 것이라곤 찾기 어렵다. 전체적으로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남쪽 문 입구의 점자블록은 총 34개 중 5개가 완전히 찢겨져 없어졌고 13개가 반파된 상태로 방치돼 있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인데도 법학전문대학원 건물 주변엔 교수님들의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알림’ 표지판과 건물위치를 가리키는 입간판은 장애인의 보행을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 대학당국자의 현실파악이 시급해졌다. 시각장애인의 보행편의를 위해 설치한 점자블록이 오히려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사고를 유발할뿐더러 일반 학생들의 안전까지도 위협하는 장애물이 되고 있을 정도라면 상황을 짐작할 것이다. 고무점자블록이 관리부실로 찢어져 너덜거리거나 떨어져 나감으로써 오히려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을 시급히 시정해야 한다. 장애인은 현실적으로 불편한 사람일뿐 인격적으로는 똑같다. 교통사고 등 각종사고로 장애인이 양산되면서 정상인을 예비장애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남의 일이 아니란 이야기다. 경북대의 인식변화를 촉구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