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에 발표되는 대학입시 개편 내용을 놓고 학생과 교사, 대학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금의 중학교 3학년이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내년부터 문·이과의 구분이 없어지니 입시제도 개편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입시 과목의 선정도 중요한 사안이지만 역시 관심사는 수능의 절대평가 전환 여부다. 수능시험의 대변혁이 일어날 상황이니 학생과 가정과 교육계의 관심이 집중될 것은 당연지사다.정부가 추진 중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전 과목 절대평가와 관련, 당장 서울 주요 대학 입학처장들은 “학생 변별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냈다. 당연한 반발이다. 이들은 수능시험에 절대평가가 도입되는 경우 “변별력 확대를 위해 학생부종합평가(학종) 전형 확대 등 보완책 마련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며 우려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줄 세우기식 교육과 과도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중3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1학년도 수능부터 전과목 절대평가로 바꾸겠다고 공약한바 있는데 이게 그것을 현실화하겠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일정 점수만 넘으면 입학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자격고시화 한다는 게 문 대통령 구상이다.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은 오는 8, 9월 발표될 예정이다. 문제는 현실과 이상의 괴리다. 6개 대학 처장들은 모두 수능이 전과목 절대평가로 전환될 경우 변별력 확보를 위해 학종 비중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A대 입학처장은 “학생부 평가 방식이 기존보다 세분화 돼 교과와 비교과에 들여야 하는 학생들 노력이 훨씬 커질 것”이 분명하다. 특히 절대평가와 함께 교육 공약이었던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절대평가)와 논술ㆍ특기자 전형 폐지 등이 동시에 시행될 경우 큰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된다. 주목할 점은 일부 처장의 주장이긴 하지만 논술ㆍ면접 비중 확대, 나아가 대학별 고사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C대 입학처장은 “전형 별로 인성 면접을 하는 대학들이 있는데 이를 전공적합성을 따지는 구술면접 등으로 전문화해 확대하는 방안 등이 고려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학생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 않아도 정권교체 때마다 바뀌면서 일관성도 전통도 사라진 입시제도다. 일방적인 발표이전에 교육계 학계 등과 진지한 토론의 장부터 마련해야 할 것이 아닌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