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전체가 최악의 수출과 내수, 투자 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경상북도가 올해 상반기 3조2019억원의 투자유치와 5047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해 주목 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실적 6조2072억원의 50%를 넘어서는 놀라운 성과로 올해 경북도는 개도 이후 최대의 투자유치 실적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MOU를 체결한 업체는 모두 39곳이다. 1차 산업이 6개사 293억원, 2차 산업이 30개사 2조1972억원, 3차 산업이 3개사 2110억원으로 제조업 비중이 90.1%를 차지해 투자유치 목적에도 부합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금속 1조817억, IT전기전자 5487억, 자동차부품 1791억, 화학 2333억, 에너지 2129억, 관광서비스 820억, 기타 998억원이다. 특히 상반기 중 SK머터리얼즈는 반도체 산업용가스에 1508억원, 아진산업은 자동차부품에 1211억원, 삼광오토모티브는 휴대폰부품에 1050억원, 청암에너지는 태양광 발전에 1290억원을 투자하는 등 4차 산업과 신성장 동력산업 유치에 성공해 주목받았다. 또 시·군별로는 포항 2개 업체 1조653억원, 구미 3개 업체 5321억원, 경산 12개 업체 3261억원, 영주 2개 업체 1538억원, 의성 4개 업체 1450억원, 안동 4개 업체 868억원이며 경주·영천·상주·고령 등이 뒤를 이으면서 시-군 간에 큰 편차를 보인 점은 옥에 티다.외국인 투자유치도 눈부시다. 도레이BSF 4645만달러, 도레이첨단소재 4270만달러, 에스케이쇼와덴코 917만달러, 엑세스바이오코리아 1280만달러, 한국열연 1425만달러, 라코 9920만달러 등의 실적을 거뒀다. 이차전지, 탄소, 반도체가스, 의료용품 등 신성장산업 등에 상반기 중 14개 업체 총 2억4800만달러의 외국인 투자유치가 이뤄진 점은 특히 평가할만하다.우병윤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경북도에 투자하는 기업에게는 비즈니스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행·재정 등 성공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고 말한다.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기업이 모여 들고 투자하게 된다는 점을 꿰뚫은 말이다. 기업이 마음 놓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몫이자 역할이다. 강한 규제, 고임금, 강성 노조 등 반기업 정서가 사라지면 기업은 제 발로 찾아온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친화도시로 꾸며 보겠다는 단체장의 강한 의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