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치매 친화적 공동체 모델인 ‘치매보듬마을’에 벤치마킹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치매보듬마을은 현재 거주지 주변을 치매 친화적 환경으로 개선, 치매환자를 예방 및 관리하는 곳으로, 경북에 15개 마을이 운영 중이다. 문재인 정부의 ‘치매 국가책임제’를 더욱 빛나게 하는 시책이다.지난달 27일 의성군 치선리 치매보듬마을에는 서울 용산구와 경기도 공무원 8명이 방문, 치매환자 3명과 마을주민 10여 명이 공동으로 닭 30마리를 키워 돈도 버는 ‘꼬꼬닭장’을 견학했다. 또 폐가를 활용한 ‘호박터널’에서는 치매환자들이 호박과 약초를 키우며 기억력 회복을 위해 터널 곳곳에 표시한 24절기 등을 보며 생활 속 치매예방 및 관리 교육의 중요성을 실감했다. 또 이 마을 치매쉼터에서는 어르신들이 직접 바느질로 베넷저고리와 애착인형을 만들면서 치매를 예방하는데다 수익금을 다문화가정에 기부하는 등 사회적 공헌사업도 곁들이고 있다. 경기도의 한 공무원은 “네덜란드에도 치매마을 성공사례인 호그백이 있지만 경북도의 치매보듬마을도 농촌 실정에 최적화된 것 같다”고 감탄하고 있다.치매보듬마을인 포항 남구 해도동 마을회관에서는 평일마다 하루 2시간씩 하모니카와 체조, 난타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치매예방과 치료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 보건정책과 구자숙 주무관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날마다 ‘고스톱’ 판이 열리는 마을회관의 분위기도 활기차게 개선하고 건강 증진에다 치매예방도 가능하게 됐다”며 “지금까지 내실을 다지기 위해 타 기관의 벤치마킹 요청을 대부분 거절했지만 앞으로는 경험과 시행착오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65세 이상 치매환자는 68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에선 노인 10명 중 1명, 85세 이상 노인은 3명 중 1명이 치매를 앓는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환자 수는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진료비·간호비·보험료 지출 등 치매 관리비용은 2015년 기준 13조2000억원에 이른다. 치매 환자 1인당 2033만원 꼴이다. 웬만한 가정에선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치매는 한 번 걸리면 호전되기 어려워 본인과 가족들이 큰 고통을 겪는 무서운 질병이다. 다른 지자체들도 경북도의 ‘치매보듬마을’을 벤치마킹해 치매환자가 있어도 불편하지 않는 새로운 삶을 누렸으면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