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노후 주택단지의 재건축·재개발사업을 수도권 등 외지업체들의 잔치판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보도에 따라 대구시가 건설업계와 지역업체 수주 확대를 위한 해법 모색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지난 1일 시청별관에서 김승수 행정부시장 주재로 대한주택건설협회,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및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대구광역시회 등 건설 4개 단체와 화성개발, 서한, 현대건설, 롯데건설 등 재개발·재건축 시공사 10개 사를 초청,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도시정비사업의 지역업체 수주 확대를 위해 건설·건축·도시정비 분야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6월 말 대구시 재건축·재개발 정비구역 213곳의 현황을 보면 시공사를 선정 완료한 85곳 가운데 수도권을 포함한 외지업체가 62곳으로 73%나 된다. 또 분양을 완료한 단지 42곳 중 30곳이 외지업체였고, 분양예정단지 43곳 중 32곳이 외지업체였다. 대구의 재건축·재개발은 외지업체의 잔치판이라는 지역건설사들의 비명이 사실로 입증된 셈이다.이에 대구시가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시는 토론회에서 조합 및 구청 등 다양한 이해관계인과 전문가의견 등을 충분히 수렴해 조합과 지역 업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지역업체 수주 인센티브(15%)를 개선, 지역업체의 수주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또한 현재 관급공사에서 적용하는 설계경제성 검토를 재건축·재개발사업을 수주한 지역 업체에도 지원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2012년 5월부터 8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에 도입해 총 공사비 1조8315억원의 5.9%인 1093억원을 절감한바 있다.시가 공공분야에서 쌓은 설계경제성검토 노하우를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지원해 공사비를 투명하게 하고, 공사비로 인한 조합원과 시공사간 갈등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지역업체의 수주 역량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한편 외지 대형건설업체와 지역건설업체간 상호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해 지역업체의 하도급비율을 높이고,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시 지역업체 참여를 권장하며 지역업체 참여가 용이한 소규모 공공주도형 가로 주택 정비사업을 적극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지역건설업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관건인 만큼 이에 대한 관심을 가져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