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군이 추진해온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좌초될 위기를 만났다. 대구환경청이 지난 2일 영양군이 협의요청한 ‘영양 AWP 풍력발전단지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부동의’ 의견을 보인 때문이다. 앞서 풍력사업업체 AWP와 함께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 중인 영양군은 영얍읍 무창리 일대에 3.3MW 풍력발전기 27기와 진입도로 14km를 설치 등을 위해 실시한 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협의요청했다. 대구환경청은 “생태적 연결성이 뛰어난 낙동정맥과 다양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인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등 환경적으로 보전가치가 우수한 산림지역을 대규모로 훼손해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경우 회복할 수 없는 자연환경 훼손, 생태적 연속성의 단절 등이 우려된다”며 환경적 측면에서 부적절하다고 최종 판단한 것이다.대구환경청은 이 지역에 풍력발전기와 이를 위한 진입도로 등이 설치돼 최대높이가 18m에 달하는 대규모 인공사면이 발생할 경우 멸종위기종 서식지와 우수한 식생을 훼손하고, 동물의 이동을 제한해 생태축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판단이다. 또 “해당 사업대상지 남측에 이미 풍력발전단지 2개소가 운영 중이고 다른 2개소는 공사 중인 상황에서 동 사업을 시행할 경우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물의 이동 제약 등 생태 단절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영양군은 2009년 41기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59기의 풍력발전시설을 운영 중인 가운데 추가로 27기의 공사를 진행 중이며 앞으로 모두 130기의 풍력발전기 도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환경파괴 등 문제를 제기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어서 책임있는 관계당국의 공정한 판단이 필요했는데 이번에 대구환경청이 ‘부동의’ 판단을 내린 것이다.권영택 영양군수는 이에 대해 풍력발전사업 유치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추진한 것이라고 해명한다. “풍력발전단지 조성은 앞으로 군의 랜드마크이자 미래의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라며 안타까워하지만 길이 없는 것도 아닌성싶다. 영양군은 대구환경청의 “자연의 수용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환경과 개발의 조화가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고, 입지 선정 시 우수한 자연·생태자원 보유지역 회피, 개발규모 최소화, 주민의견의 적정수렴을 통한 주민수용성 제고 등이 필요하다”는 충고를 들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