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7월 코로나19 방역 완화를 위해서는 고령층의 백신 예방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 설명회를 열고 “7월 이후로 방역 완화 조치 병행 가능성 있어서 (비접종자 감염) 위험도 높아질 수 있다”며 “반드시 접종을 받아주고 다른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고령층 본인을 위해서임을 알아 달라”고 말했다.중수본에 따르면 지난 6일부터 시작한 70~74세 예방접종 사전 예약률은 40.1%, 10일부터 시작한 65~69세의 사전 예약률은 21.4%다.손 사회전략반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고 수십 명이 사망했다거나 백신 부작용을 정부가 인정 안 하려고 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선진국이 안 맞는다 등등 허위 정보가 많이 돌아다니고 있는데, 모두 거짓 정보이며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손 사회전략반장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접수하는데, 사망 신고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모두 비슷하다. 아스트라제네카만 높은 게 아니다”며 “우리나라 기준은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적용하고, 정부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의과학자가 철저히 검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인과성 인정이 어려운 경우에도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런 보상 기준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가장 넓다”고 말했다.앞서 정부는 지난 10일 백신 접종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도 1인당 최대 1000만원의 중증 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을 올해 한시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손 사회전략반장은 “외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34개국에서 접종하고 있고 독일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총리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했다”면서 “고령층이 치명률은 5.2%인데 희귀 혈전증은 100만명당 몇 명 수준으로 나와 비교 가능한 수치가 아니다. 1회 접종만 해도 80% 이상 예방 효과를 확보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다. 예방접종이 절대적으로 이익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정부는 예방접종 완료 후 14일이 경과한 사람을 대상으로 확진자의 밀접 접촉 또는 변이주 유행 국가가 아닌 해외에서 입국 시 격리 대신 능동감시로 전환하기로 했다.손 사회전략반장은 “모임 시 예방접종자만 활성화한다든지, 동호회, 교육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진행 시 접종자를 중심으로 활성화하는 모습이 외국에서 많이 관찰된다”라며 “(접종)인센티브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