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불법 출국금지 수사 외압 의혹`을 받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결국 재판에 넘겨졌다. 한때 문재인 정부의 ‘검찰 황태자’로 불렸던 이 지검장이 피고인 신분으로 전락하면서 그의 향후 거취에 관심이 쏠린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의혹을 수사한 수원지검 수사팀은 이날 오전 이 지검장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법에 불구속 기소했다. 대검찰청(대검) 산하 검찰수사심의위원회(수사심의위)가 이 지검장을 기소해야 한다는 권고 결정을 내린지 이틀 만이다.수사심의위는 지난 10일 대검 회의실에서 이 지검장 기소 여부 등을 논의하는 현안위원회를 개최하고 표결을 거쳐 그를 기소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검은 전날 수원지검의 이 지검장 기소 방침을 승인했다.과거 검찰 내 비주류로 분류됐던 이 지검장은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검찰 내 요직을 두루 맡으며 승승장구했다. 2017년 7월 인사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한 이 지검장은 검찰 요직인 대검 형사부장과 반부패강력부장을 거쳐 법무부 검찰국장으로 영전하는 등 검찰 내 대표적인 ‘친 정권 성향 검찰’로 꼽혔다.이 지검장은 현 정권에서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취임한 이후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 개입 사건’ 및 ‘조국 전 장관 아들 인턴 증명서 위조 사건’ 등 정권을 겨냥한 민감한 사건들에 대한 수사를 지연시켰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관련 사건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을 배제한 수사팀 구성을 요구하는 등 윤 총장과 대립하기도 했다.이 지검장은 임기가 얼마 안 남은 문재인 정권에서 유력한 차기 검찰총장 후보로 언급되기도 했지만 김 전 차관 불법출금 의혹 등 관련 기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결국 최종 후보로 지명되지는 못했다.검찰 수사의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며 자신이 직접 소집을 요청한 수사심의위가 기소를 권고하고 실제 검찰의 기소로 이어지면서 피고인 신분이 된 이 지검장의 향후 행보도 불투명하게 됐다.이 지검장은 이날 기소 직후 기자단에 입장문을 보내 “수사과정을 통해 사건 당시 반부패강력부 및 대검의 상황을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결국 기소에 이르게 되어 매우 안타깝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