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자동차부품업체는 대체로 전기·수소차 관련 사업진출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의지를 보이지만 사업화 진행은 미진한 상태로 나타났다.28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대구·경북 자동차부품회사의 친환경차 관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업체를 주 납품처로 하는 2차 이하 협력사가 대부분인 지역 내 자동차부품업체들은 내연기관과 범용 부품을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조사 응답 업체 75.2%가 2차 이하 협력사였고 79.7%의 업체들이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에 납품하며 20.3%는 해외 완성차와 부품업체에 납품한다.엔진, 변속기 등 내연기관 전용부품을 생산하는 기업(43%)과 범용 부품 생산 업체(41.7%)가 대부분이었고 전기, 수소차 전용 부품을 주로 생산하는 업체는 9.9%에 불과했다. 응답 기업의 71.2%는 부설 연구소 등 연구개발 조직을 보유했다.지역 내 상당수 자동차부품업체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전기·수소차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가 30.1%며 향후 생산계획을 가진 기업이 43.6%로 응답 업체 73.7%가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관련 매출 및 수출 비중은 낮은 편이며 업체들의 사업화 단계는 초기수준인 경우가 56.6%를 차지했다.부품을 생산·계획 중인 업체의 53.9%는 전기·수소차 관련 수요처를 확보한 상태이지만 발굴 및 논의가 없는 상태인 업체도 24.3%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자동차부품업체들의 절반 이상인 55.4%가 자체개발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외부와 공동개발은 26.8%,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한 위탁개발은 10.6%가 실시하고 있다.재원 조달은 자체보유자금(36.3%), 정부·유관 기관 정책자금 대출(24.8%) 및 정부·지자체의 R&D 지원(1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전기·수소차 부품을 생산·진출계획 중인 업체들은 생산계획이 없는 업체들에 비해 매출, 수출 및 고용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다.지역 내 자동차부품 업체들 주 전기·수소차 부품을 생산·계획 중인 기업들의 경우 향후 5년간 자동차 부품 매출이 10~30%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30.4%를 차지했다.전기·수소차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 없는 업체들의 경우 매출 변화가 없을 것으로 응답한 업체가 3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10~30%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도 26.8%로 나타났다.지역 내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전기·수소차 관련 분야로 진출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는 투자·개발자금 부족(23.2%), 기술·전문인력 부족(18.8%), 시장·기술 정보 부족(14.2%) 등으로 답했다.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와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공동으로 대구·경북 지역 내 자동차부품업체 500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7일부터 28일까지 조사를 진행한 결과 156개 업체가 응답했다.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 내 업체들의 정책 수요에 맞춰 기술개발, 투자자금, 전문인력 유치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전기·수소차 시장에 활발히 참가하는 업체들이 고용증대에도 적극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