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여전한 가운데 편견을 극복하지 못한 환자들은 직장에서 내몰릴 위험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삼성융합의과학원 심성근 박사 연구팀은 화순전남대병원과 공동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 사이 암 생존자 433명(평균 52.2세)을 만나 암에 대한 편견과 직장 내에서 겪은 차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지난달 28일 이같이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여성은 전체 대상자의 45.9%(199명)를 차지했고, 전체 대상자의 60.1%(259명)가 대학을 졸업했다. 사무직이 67.6%(29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현장노동자 16.4%(71명), 서비스 및 영업직 16%(69명) 순이었다.암 생존자의 24%(104명)는 직장을 잃었다고 답했다. 또 20.7%(90명)는 고용주나 동료들로부터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토로했다. 친구나 이웃들이 암환자인 본인을 외면한다고 생각한 사람도 각각 24.2%, 22.4%였다.환자 본인이 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있는 경우 역시 적지 않았다. 의학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암을 치료할 수 없을 것으로 여기는 환자는 21.7%나 됐다. 19.1%는 암이 완치되더라도 예전처럼 업무를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암환자는 외모만으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한 사람은 13.4%였다.암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 차별은 암 환자의 실업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환자 스스로 암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회복할 것이라는 믿음이 부족할 때 일자리를 잃기 쉬웠다.암을 불치병이라 여긴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일자리를 잃을 위험이 3.1배 더 높았고, 평소 암 환자에 대해 고정관념을 내비친 환자 역시 일자리 상실 위험이 2.1배 높았다. 직장 내에서 차별을 경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1.98배까지 증가했다.연구팀은 암 생존자가 200만 명을 넘어섰지만 일상으로의 복귀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에서 지원한 ‘암생존자 맞춤형 직장복귀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구’ 과제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해외 학술지 ‘사이코온콜로지(Psycho-Oncology)’ 최근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