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기업들에서 근무하는 우수 인재들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대구상공회의소는 지역 기업 31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구지역기업 우수인재 현황 조사에서 응답 기업 68.1%가 지역의 우수한 인재가 부족하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인재 채용과 관련해서도 응답기업 63.2%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인재 부족 현상을 겪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 39.2%가 생산 관리 및 기술 분야라고 답했으며 R&D(연구개발)분야(16.9%), 마케팅·영업 분야(15.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인재 부족에 따른 영향으로는 사업추진 차질 등 업무공백(26.7%), 인력 충원 비용 발생(23.2%), 기업 기술력 약화(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재산 등 노하우 유출을 우려하는 업체도 5.8%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인재 확보를 어렵게 하는 지역의 내부적 요인으로는 임금수준(31.0%), 구직자의 중소기업 회피(15.5%), 근무환경(14.6%) 등 순이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환경 및 인프라(41.9%), 주택.의료 시설 등 정주여건(23.2%) 등 순으로 나타났다.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기업에서 필요한 인센티브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서는 연봉 인상(35.7%), 복리후생·근무환경 개선(30.6%), 성과급 지급(18.1%) 등 순으로 답했다.기업이 선호하는 미래 인재상을 묻는 질문에는 복합 문제 해결 능력(26.2%), 협업 능력(20.4%), 창의력(18.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인재 도시 대구를 만들기 위한 지원 정책은 응답기업 30.9%가 임금구조, 복지여건 등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들기 위한 지원정책 개발, R&D 인력 확충 및 타 지역에 있는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소 대구로 이전 유도(22.5%), 지역에서 양성된 인재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 구축(19.3%), 중소기업 기피 문화 및 인식 개선(18.0%) 등을 통해 지역 기업이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다.대구상의 관계자는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인프라 및 주택 등 환경적으로 좋은 정주요건을 만들어 청년인재가 살고 싶은 대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지역의 인재 유출이 심해질수록 지역 산업 첨단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실질적이고 과감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