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금융기관의 카드가맹점 매출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3년간 상반기 지역소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11일 경북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도내 카드소비 추정액은 6조817억원으로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에 비해 2% 줄었으나 지난해 상반기보다는 8% 늘었다.경북도는 전국 최초로 시행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5인 이상 집합금지 해제) 등 ‘경북형 민생 기 살리기’ 경제 정책의 시너지 효과로 분석했다.시군별로는 군 단위(+15%) 지역의 소비가 시 단위(+6%)에 비해 2.5배 이상 늘어 지난 4월 26일부터 선제적으로 집합금지 해제를 시행한 곳에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입증했다.경북도는 지난 1월부터 ‘민생살리기 특별본부’를 출범하고 ‘경북형 민생 기 살리기 종합대책’으로 53개 사업에 1조761억원을 투입했다.결과 민생현장에서 체감효과가 가장 큰 소상공인 정책분야에서 성과가 두드러졌다.먼저 `지역사랑 상품권`은 상반기에만 5552억원으로 전년 대비 1.6배 이상의 발행실적을 기록해 지역 소비진작에 기여했으며 올해 목표액인 1조원 발행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다음으로 ‘소상공인 생계형 자동차 취득세 감면’이 701건에 5억원 넘게 이뤄져 소상공인을 지키기 위한 디딤돌이 됐다는 분석이다.수출도 173억 달러를 달성해 전년(1~5월) 대비 22.3% 늘어났고 전년 1월 대비 고용율은 60%에서 61.5%(+1.5%)로 늘었으며 실업율은 5.2%에서 4.0%(-1.2)대로 낮아졌다.김장호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민생살리기 시즌1의 효과가 통계로 입증됐다”며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시즌2 정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