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콩팥병 환자가 힘들게 체중 감량에 성공해도 다시 살이찌는 ‘요요 현상’이 심할수록 사망은 물론 심근경색·뇌졸중·말기신부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동기 교수팀(박세훈 전임의, 숭실대 한경도 교수)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만성 콩팥병 환자 8만4636명을 평균 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요요현상이 있는 만성 콩팥병 환자는 사망·심근경색·뇌졸중·말기신부전 발생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연구팀은 연구 대상의 표본을 체중 변화량 순으로 2만1159명씩 4개 그룹으로 분류한 뒤, 그룹 간 차이를 관찰한 결과 요요 현상이 크게 나타난 그룹일수록 건강 예후가 좋지 않았다. 가령, 평균 체중 변동이 가장 큰 4분위는 가장 작은 1분위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66.2% 높았다. 심근경색, 뇌졸중, 말기신부전 발생 위험도 각각 19.1%, 18.9%, 20.1% 높았다. 특히 상위 그룹일수록 위험도가 일관되게 상승하면서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경향성은 체중의 변화 방향과 무관했다. 흔히 체중 증가 만이 위험하다 여겨지지만, 체중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요요 현상을 겪을 때도 위험이 증가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신장 분야 최고 권위지 ‘저널 오브 아메리카 소사이어티 오브 네프롤로지’ 최근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