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등 각종 소화기 질환의 주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헬리코박터균)이 심근경색, 협심증 같은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높인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김학령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정재훈 국립의료원 순환기내과장 교수·민경환 한양대구리병원 병리과 교수·김동훈 강북삼성병원 병리과 교수)은 2006년 8월부터 2009년 9월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위생검을 받은 2만1251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위염의 중증도와 심혈관 질환 위험도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지난 10일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약 51.2%에서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확인됐다. 이들은 감염되지 않은 대상자(평균 44.7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평균 42.9세로 남성 비율이 74.7%로 높았다.특히 헬리코박터로 인한 위염의 중증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확인한 결과 두 질환 간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됐다. 심혈관 질환 위험은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도를 수치화하는 4가지 예측모델을 이용해 나타냈다.체내 헬리코박터균 밀도가 높아 위염의 중증도가 높아지면 4가지 예측모델의 심혈관 위험도 수치도 모두 점차 상승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위 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김학령 교수는 “위염과 위암의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헬리코박터균이 독성물질인 CagA 단백질을 생성하고 체내 콜레스테롤 대사를 방해해 체내 염증,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해 심혈관 건강이 악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이어 “너무 맵거나 짠 음식은 되도록 피하고, 신선한 음식을 먹는 등 평소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심혈관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헬리코박터균은 위장 내 점막에 주로 기생하는 세균으로 위염과 위귀양, 위림프종, 위암 등 각종 소화기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음식을 공유하는 식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감염비율이 높다.연구 결과는 지난 8월 심혈관대사 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애써로우스컬로우시스(Atherosclerosi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