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이야기하는 대선을 앞두고 선택의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상할 수 없는 사건으로 현실을 탄식하게 되는 안타까운 추석 연휴 기간이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선거라는 선택의 장을 생각하면서 정치 현실을 돌아보게 된다. 시간을 갖고 정치 리더십이 양성되지 못하고 내일 무슨 일이 있을지 전혀 예상할 수 없이 급변하는 정치 환경에서 정치지도자는 갑작스레 이 세상을 구원할 화제의 인물로 등장하여 대중의 조명을 받는 무대 위의 겨루기라는 정치 소비 과정을 통해서 탄생해 왔다.  현실의 문제가 무엇인지와 어떻게 이를 타개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토론은 주목을 받지 못하기에 생략되기 일쑤다. 대중을 흥분시키고 관심을 모으는 분위기를 만들어서 화제거리를 제공하는 대중성이 선택의 기준이 된다. 대중에 의해 운영되는 민주정의 방식과 미디어 정치라는 상황은 더욱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종교를 대신하여 방향을 제시하는 정치적 이념이 행동의 근거를 제공하기에 정치 세력의 이념성이 선택의 기준인 때가 있었다.  87체제에서 끊임없이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온 586운동권 정치세력이 사회 주류가 되고 집권정치 세력이 된 이후에, 조국 사태 이래 오늘까지 이어지는 아수라의 현장에서 확인되듯 그들에게 어떠한 이념 지향성이 애당초 없었거나 사라졌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흔들려 온 국가정체성 뒤에서 방향을 가르키던 정치 진영의 이념적 지향이 무너져 내리고 진영은 길을 잃은 상황이 되었다. 대립되는 이념 정체성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집단이나 그러한 전선이 보이지 않는다. 그때그때의 이슈로 야기된 다툼의 소란스러움만이 대립을 만드는 진영이 있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에 의한 권리 추구나 인물 선호로 갈린 정치 집단은 이에 상응하는 포퓰리즘을 불러 일으키고, 정치는 통합이 아닌 분열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권리를 근거로 한 이익 추구나 정치 셀럽을 향한 팬의 숭배가 실질적인 이해관계로 등장하면서 자기편의 정체성을 추구하게 된다. 유권자가 요구하는 권리나 취향을 만족시키는 정치 현실은 정체성 정치 현상을 보여준다. 같은 시대와 장소에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 세대의 공존이라는 공통의 이해를 만들기 어려운 환경과 다원화된 사회에서의 각자의 가치만을 추구하는 혼란 상황에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권력의 추구는 집단을 더욱 세분화하고 세력화하면서 분쟁은 치열해지고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려는 포퓰리즘은 더욱 번창하여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불신과 갈등은 유일한 정치적 자원이 되고, 공동체성을 무너뜨리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정치가 되었다. 소용돌이의 한국정치라는 저술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공동체를 형성하기 보다는 개인간의 여러가지 연결고리를 자원으로 하고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신분 상승을 추구하여 벼슬을 얻어 입신양명해서 가문의 영광을 달성하려는 문화적 전통도 이같은 정치 상황의 배경이다. 정치적 지향이나 이념 추구가 아니고 공동체를 위한 현실의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어떤 인물을 택하는가의 문제가 되는데, 내편이거나 내게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는 소망이 선택의 이유가 된다.  명확하지 아니한 상황이지만 어쩐지 나와는 잘 맞을 것 같은 사람, 나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사람, 나와 정체성을 같이 하는 사람일 것이라는 느낌이 선택 기준이 된다. 오늘의 정치 진영은 이념이 아니라 나를 만족시키는 기대를 통한 인정 욕구의 충족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신과 일체감을 가진 사람에 대한 호감이나 반감이 선택의 기준이 되므로 후보자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동질감을 심어줄 것인가이다.  선거의 선택은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지극히 정서적인 것인데, 팬덤정치에서는 이런 상황이 더하다.<계속> <출처 펜앤드마이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