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여부가 위암 수술을 받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절제술 이후 나타나는 장·단기 합병증 발생 비율이 이식환자와 일반환자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 김형일 교수와 원주세브란스기도병원 이식외과 김덕기 교수는 장기이식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며 위암 수술을 받은 41명과 일반 위암 환자의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한 조사 결과를 18일 밝혔다. 위암 수술 과정에서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이식환자가 면역력을 추가로 떨어뜨리는 항암제까지 투약받을 경우 합병증·감염 위험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식수술 후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41명(신장이식 35명·간이식 5명·심장이식 1명)과 성별·나이 등이 비슷한 205명의 일반 환자들의 수술 성적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위 절제술 후 30일 이내 단기 합병증의 총비율은 이식환자 22.0%, 일반 환자 20.0%였다. 중증합병증은 이식환자들이 0%로 일반환자 5%보다 낮았고, 기타 합병증도 이식환자(문합 부위누출 2.4%·출혈 0%)와 일반환자(2.9%·1.5%)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0일 이후 장기 합병증의 발생비율도 이식환자 4.9%, 일반환자 1.0%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58개월간 재발률을 추적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식환자 20.0%, 일반환자 19.0%로 비슷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유럽종양외과학회지(IF 4.424) 최신 호에 게재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