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에너지 대란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에 빠져 있다. 화력발전용 석탄부족에 따른 전력난, 천연가스 폭등과 유가 앙등으로 인한 유럽의 아수라장, 셰일가스 생산중단에 따른 미국내 유가상승 등 전세계가 쇼크에 빠져 있다.
에너지 대란은 각종 공산품은 물론이고 식품 가격까지 거대한 나비효과를 일으키면서 미증유의 혼란을 가져다 주고 있다.
이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모두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석연료에서 그린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논리에 따라 현실을 도외시하고 가장 효율적인 원자력을 도외시하고 풍력, 태양광을 무리하게 도입한 결과다. 태양광 패널이 산과 들을 망가뜨리고 발전원가가 터무니 없이 높은 풍력발전 시설이 애물단지가 된 것은 유럽도 마찬가지다.
이같은 글로벌 에너지 대란에서 급속히 부상하는 나라가 있다. 바로 러시아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10년에 유럽의 에너지 위기를 정확히 예언했다.
그는 독일이 왜 천연가스를 싫어하고 탈원전을 하는지 도대체 이해를 못하겠다. 집에 난방은 해야 할 것 아니냐, 둘다 싫으면 장작을 땔래, 그러면 시베리아 장작을 가져가라고 농담을 한 적이 있다.
푸틴의 이 유머는 1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정확히 적중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0월 16일 ‘러시아 에너지 윅’에서 지리멸렬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에 대해 냉엄한 훈계를 했다.
천연가스 가격폭등은 공급자인 러시아를 탓할 필요가 없다. 수요예측을 하지 못하고 과거 10년동안 풍력같은 소위 재생에너지에 의존한 당연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풍력발전의 경우 생산이 들쭉닐쭉하다는 점에서 악명이 높았고 저장을 하기에도 버거웠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에는 기상 조건이 열악해 풍력발전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바람에 전력부족현상이 발생했는데 바로 이점이 천연가스 가격 앙등을 불러 일으켰다고 진단했다.
수요는 계절적이어서 여름에 겨울을 대비해야 했는데 유럽이 바로 이 점에 실패했다고 말했다.
유럽은 단기 공급과 소위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존했지만 전력수요 폭등이 천연가스 가격을 더욱 끌어올렸다고 진단했다.
푸틴은 유럽이 원전과 천연가스로 발전했을 때는 에너지 위기가 없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또 러시아의 전력가격은 시간·메가와트당 20유로인데 반해 리투아니아는 256유로, 독일과 프랑스는 300유로. 영국이 320유로라고 가격을 적시하면서 다른 나라의 전력공급정책을 비판하기도 했다.
푸틴은 ‘러시아 에너지 윅’에서 러시아는 올 연말까지 기록적인 양의 천연가스 공급이 있을 것이라면서 유럽대륙전체의 에너지 안보를 더욱 강화하는데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르크스트림, 발칸스트림, 노르트스트림1과 2가 유럽국가들과 공동으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유럽의 수요에 따라 향후 공급안정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유럽전체가 연간 54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생산하는데 러시아는 가스프롬 한 회사에서 그 10배를 생산한다면서 생산을 더욱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가스프롬의 비축량만 35조 입방미터로 거의 제한이 없다면서 유럽에 대한 공급을 계속 늘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은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노르트스트림1으로 공급되는 러시아산 천연가스는 탄소함유량이 미국산 천연가스보다 3배나 낮다고 과시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정치적 편견이나 상투적인 소리를 집어치우고 에너지 공급자와 수요자간 의미있고 실질적이며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는 글로벌 메커니즘을 논의해야 하 한다고도 했다.
푸틴은 정치적 요소를 고려하지 말고 우크라이나 천연가스 파이프를 그대로 이용하라고 가스프롬에 지시했습니다. <계속>
<출처: 펜앤드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