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철도공사는 1일 반월당환승역에서 노사 합동으로 정부의 보편적 교통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는 노인 등을 위한 법정 무임승차 손실과 관련해 원인 제공자인 정부에 국비보전을 촉구하며 대시민 홍보를 펼쳤다. 이번 대시민 홍보는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공익서비스 보전 비용에 대한 정부의 코레일 등 타 교통수단과의 차별적인 지원 정책에 대해 공동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노사는 시민들에게 무임승차 손실 비용의 정부 지원 당위성을 호소했다. 한편,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서울, 대구 등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무임승차 손실액은 총 2조7696억원에 달했으며, 대구도시철도의 경우 2596억원으로 서울, 부산에 이어 전국 3위 였다. 또한 대구도시철도의 경우 고령화로 인해 무임승객 비율이 2016년 25%에서 2019년 29.3%으로 증가해 손실액도 매년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2016년 448억원에서 2019년 614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이는 당기 순손실액 1396억원의 44%를 차지했다. 특히 작년에는 당기 순손실액이 2062억원에 달해 만성적 적자 구조에다 코로나19로 인한 운수수익 급감 등으로 전년대비 666억원이나 급증했다. 국가통계포털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앞으로 대구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더욱 증가할 전망에 따라 노인 인구는 2020년 16.6% 에서 2025년 20.5%까지 늘어나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 향후 무임승객 증가로 인한 무임승차 손실액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대구도시철도의 경영난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장 홍승활은 “무임승차 손실 비용은 이제 더 이상 지자체와 공사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졌다며, 코레일이 국가로부터 일부 무임승차 비용을 보전받고 있듯 도시철도 운영기관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노사 모두가 협력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무임수송 국비보전을 위한 관계 법령이 조속히 개정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지지를 바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