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에게 나타나기 쉬운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아트로핀 점안액 치료’의 최적 농도가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소아안과 김영국·정재호 교수팀은 3일 저농도 아트로핀 치료에서 치료효과가 우수한 최적의 농도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근시는 가까운 거리는 잘 보이지만 먼 거리는 잘 보이지 않는 질환으로, 어린 시절 발생한 근시는 심하면 실명 관련 안질환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데 콘택트렌즈·특수안경 등보다 더 편리하고 효과적인 아트로핀 점안액 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아트로핀은 농도가 높을 경우 눈부심·독서 장애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낮은 농도로 치료할 것이 권고됐다.  하지만 ‘낮은 농도’만 권고될 뿐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농도가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는 규정되지 않았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최적의 농도는 0.05%였다. 연구팀은 학술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기존 아트로핀 연구를 종합해 아트로핀 치료를 받은 비교 표본 3273명을 확보했다. 연구팀이 확보한 표본을 바탕으로 8개(1%, 0.5%, 0.25%, 0.1%, 0.05%, 0.025%, 0.02%, 0.01%)의 저농도 아트로핀 치료군의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한 결과 1%, 0.5%, 0.05% 농도 아트로핀 치료군의 치료효과가 우수했다. 치료효과에 더해 안전성까지 고려한 결과 0.05%가 가장 최적의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두고 어린이 근시치료를 위한 구체적인 핵심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김영국 교수는 “시신경 유두함몰비가 증가된 어린이의 경우 근시 관련 녹내장 예방을 위해 아트로핀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안과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안과학회지(Ophthalmology, IF=12.079)`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