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은 한국지역난방공사(이하 난방공사)가 추진하는 달서구 성서열병합발전소 발전용량 6배 증설과 관련해 감사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고 8일 밝혔다. 대구안실련은 “국민 건강 위협은 물론 대구시민 기만과 호도로 일관하면서 중대한 절차적 위배, 그리고 시민 건강권을 위협하는 중차대한 사안임에도 시민단체 및 시민들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있어 한국지역난방공사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감사 청구 배경을 설명했다. 대구안실련은 난방공사가 허가 발전용량을 속이고 일산화탄소(CO), 미연탄화수소(UHC),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등 독성,발암물질 배출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은 물론, KDI 예비타당성 평가 시 연결열부하 단위의 난방부하 기준값을 부풀려 통과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당초에는 발전용량 43.5㎿에서 400㎿로 용량증설을 추진하면서 산업통상자원부 최종 허가는 261㎿급, 발전기는 400㎿급으로 선정하는 등 심각한 시민건강권 위협과 방만 경영으로 국민 혈세까지 낭비한다고 지적했다. 대구시 달서구 성서공단 내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는 1995년부터 벙커C유를 원료로 열공급을 시작했으며 1997년 43.5㎿ 규모의 발전설비를 준공해 25년째 유지하고 있다. 난방공사는 주민들이 전국에서 운영하는 열병합발전소 중 대구(47㎿)와 청주(58㎿)만 오염물질이 많은 벙커C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문제점을 제기하자 3208억원을 투입해 청정연료인 LNG로 개체해 대기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난방공사가 추진하는 개선공사 내역을 보면 지역난방 열용량은 기존 설비 대비 4% 증가하는데 그치지만 허가된 발전용량은 기존 43.5㎿에서 600% 증가한 261㎿라는 점이다. 발전기 용량은 이보다 훨씬 더 큰 400㎿급이어서 논란이다. 열병합발전소의 증설을 반대하고 있는 지역주민 단체인 성서지역발전회 관계자는 “지역주민에게 공급되는 열용량 증가 등 혜택은 없고 발전용량을 늘려 전기 판매수익을 늘리려는 것”이라며 “지난 25년간 지역 기여도는 없이 고통만 안겨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또 있다. 사업추진으로 인입되는 LNG 인입배관의 최고압력은 4㎫로 일본의 2㎫(주택 밀집지역)이나 영국 0.7㎫(도심지), 미국 1.4~1.76(메사추세츠·뉴저지) 보다 훨씬 높다. 인근 5개동의 4만8000여세대, 약 12만명의 주민들이 거주하는 주택밀집지역이다. 주민들은 폭발이나 대형 화재 등으로 자신들의 생명권과 재산권이 심대한 위협을 받을 것이란 우려를 감추지 않고 있다. 성서지역발전회 관계자는 “지역주민 의견을 대충 넘기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보편타당성 있는 사업을 추진해 시민들의 신뢰를 받도록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계속 막무가내로 사업추진에 나설 경우 감당할 수 없는 저항에 마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