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발병 전 혈당 수치에 따라 뇌경색 치료 효과가 달라져 평소 혈당 조절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한문구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장준영 교수 연구팀은 국내 뇌졸중 다기관 코호트(CRCS-K)에 등록된 환자들 중 당뇨를 동반한 급성 뇌경색으로 혈전제거술을 받은 1351명을 대상으로 입원 당시의 당화혈색소 수치와 시술 이후 기능 회복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뇌경색 발병 전 혈당 조절 정도에 따라 혈관의 혈전을 제거한 이후 뇌경색이 커지거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면서 증상이 악화될 위험이 다르게 나타났다. 혈당이 잘 조절된 경우 위험도가 23%에 그친 반면, 조절이 불량한 경우 31%로 보다 높았다.
급성기 뇌경색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인 ‘혈전제거술’을 받아 혈류의 흐름이 원활해진 뇌경색 환자의 경우에도 발병 전 일상적인 혈당 조절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당화혈색소를 7.0% 이하로 조절한 경우 뇌경색 환자의 후유증 없는 기능 회복 비율이 당화혈색소 7.0%를 넘는 경우와 비교해 47% 더 향상됐다. 당화혈색소 조절은 나이, 성별, 뇌경색의 아형, 정맥 내 혈전용해제 사용 여부, 재개통 정도와 무관하게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뇌경색은 혈관에 쌓인 딱딱한 노폐물 덩어리인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당뇨나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에서 비롯되기 쉽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큰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이 발생한 경우 동맥 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