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교육공무직노동조합(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경북교육청이 비상대응을 하고 있다.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전체 945교 9632명의 교육공무직원 가운데 212교의 641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은 상황실을 꾸려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부당노동 행위나 문제점들을 신속하게 파악했다.
시군 교육지원청은 급식·돌봄 등 취약 분야에 대한 학교별 운영 상황을 파악해 현장 확인을 하고 운영 지원과 컨설팅에 나서도록 했다고 밝혔다.
학교 급식은 급식 근로자의 파업참가자 수에 따라 식단 축소 또는 간편식을 제공하거나 도시락 지참, 대체식(빵·우유 등) 제공 등 학교 상황에 맞게 운영토록 했다.
이상국 경북교육청 학교지원과장은 “돌봄교실, 특수교실 등의 근로자 공백이 있으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해 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앞으로 파업 대응 방법에서도 개선할 점이 있는지 다각도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서도 200여명 동참
전국의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차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대구지역의 200여명도 파업에 동참했다.
2일 대구교육청 등에 따르면 급식종사자와 돌봄전담사, 교육공무직 등 학교비정규직 16개 직종에서 총 200여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이번 파업으로 전체 학교 482곳 중 초등학교 4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1곳 등 7개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급식 중단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빵과 우유 등이 제공됐고 초등학교 1곳은 단축 수업했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급식을 제외한 다른 직종은 교직원들의 대체 근무 등으로 대부분은 정상 운영했다”고 말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간의 합의가 결렬됨에 따라 지난 10월 1차에 이어 2차 총파입에 돌입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구지부는 “신규 입사자들에게 독소조항이 포함된 근로계약서 체결로 또다른 차별을 만들어내고 있다”며 “신규입사자에게 퇴직금 정산 시 방학기간을 제외하는 조항은 대구교육청에만 있다. 이는 9개월치에 대한 퇴직금만을 주기 위한 꼼수로, 비정규직 처우 개선을 위해 대구교육청이 성실하게 교섭에 나서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최준길·황태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