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박물관(관장 김정학)은 12월 10일(금)부터 2022년 4월 10일(일)까지 대구읍성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 <대구읍성, 새로운 도시의 탄생>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구의 도시 성장과 발전을 이미 114년 전에 사라져 지금은 흔적만 가늠해볼 뿐인 대구읍성과 함께 살펴보는 전시로 조선시대에 대구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알아보고, 대구읍성과 관련된 역사적 상황과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조선후기 새로운 도시로 성장하여 지금까지 이어진 대구의 면모를 살펴보는 자리다. 전시는 크게 3가지 공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공간 <대구, 경상의 중심이 되다>는 1601년 경상감영 설치와 함께 행정 중심 도시가 된 대구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두 번째 공간 <읍성, 대구를 보호하다>에서는 대구읍성의 축성 배경과 축성 상황에 대해 알아본다.  세 번째 공간 <도로, 도시를 변화시키다>는 도시의 입지에 핵심적 요소인 도로가 대구읍성과 대구의 도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이야기한다. 도보와 말(馬), 그리고 기차로 이어지는 이동 수단의 변화와 이에 따르는 도로의 변화가 읍성의 해체와 대구라는 도시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통해 오늘날 대구의 도시 모습을 이해해보는 공간이다. 조선 후기 도로에 대한 기록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도로고>를 비롯, 오늘날 도로에 남아있는 대구읍성의 흔적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 외에도 이번 전시를 찾는 시민들은 <영영축성비>의 기록으로 (양력) 12월 13일이 선화당에서 대구읍성 낙성잔치가 열린 날임을 알게 될 뿐 아니라, 읍성주역들의 당시 상황을 극화한 ‘독백’도 들을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