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통·타박상 등에 사용되는 파스는 약사 등 증상과 환부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또 피부염·상처 부위는 피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파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이같은 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파스는 약국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의약품과 편의점·마트에서도 구매가 가능한 의약외품으로 구분된다. 타박상·근육통·관절통 치료를 보조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형별로 국소 환부에 의약품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점착시켜 쓰는 ‘첩부제(롤파스 포함)’, 국소 찜질에 쓰는 ‘카타플라스마제’, 안개·분말·포말 등으로 피부에 분무하는 ‘에어로솔제’, ‘겔제’, ‘액제’ 등 다양하다.
적절한 파스를 선택하려면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해 증상과 환부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성분(주성분)도 고려해야 한다.
부기가 올라오는 경우라면 ‘멘톨’, ‘캄파’ 성분이 포함돼 있어 피부를 차갑게 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부기가 빠진 후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 ‘고추엑스성분(캡사이신)’을 함유해 통증 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제품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