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은 15일 영덕 대진리 연안 바다목장 조성 해역에서 동해안에서 사라져가는 고부가가치 품종인 개볼락과 탁자볼락 어린 고기 8만 마리(개볼락 2만, 탁자볼락 6만 마리)를 방류했다. 연구원은 지난 2016년부터 동해 연안 볼락류의 인공종자 생산 연구를 해왔다. 올해는 개볼락의 산출(産出. 체내수정으로 수정란이 모체에서 부화해 새끼가 태어나는 것) 유도 관련 연구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지난 3월말 인공종자 생산에 성공함으로써 대량생산의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탁자볼락의 인공종자 생산에도 성공해 자원화한 바 있다. 연구개발 2년차인 올해는 탁자볼락 6만 마리를 생산했다. 개볼락은 돌우럭, 탁자볼락은 검정열기로도 불리며 회와 매운탕이 일품이라는 평이 있지만 자원량이 줄고 있어 일반인에게는 보기 드문 어종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