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물가안정을 위해 여러 가지 수급안정 대책, 수입 확대 등의 조치를 하고 있다. 특히 민생이 어렵기 때문에 물가안정을 시키더라도 취약계층에 관해 특별지원 등을 통해서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소비자 물가를 적극적으로 잡아야 하는데 정부는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 나갈 계획이냐’는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조 의원은 “대한민국의 경제와 또 서민경제는 그야말로 도탄에 빠져 있는 지경이다.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로 인해서 우리 국민들은 매우 고통스럽다”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정부가 법인세를 인하함으로써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는 것은 공감하지만 사실상은 대기업은 코로나나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부자감세’의 오해 소지가 있기 때문에 속도를 늦추고 오히려 물가로 인해 고통 받는 서민들을 위한 정책이 나아보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추 부총리는 “경제가 어렵기 때문에 경제의 활력을 뒷받침하는 노력도 같이 가야 한다. 중소기업이든 대기업이든 간에 일반 소득이 높은 부자, 고소득자, 저소득자 이런 프레임으로 기업은 접근해서는 안 된다. 법인세는 선진국들이 단일 세율로 가져가는 이유도 그런 거다. 민생을 빨리 안정시키고 경제활력이 더 강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조 의원은 이날 최근 치솟은 밥상 물가를 지적하기 위해 직접 장바구니를 들고나오기도 했다.
조 의원은 시금치와 배추를 마트에서 직접 구매했다고 밝히면서 “배추가격이 최근에 한 포기가 만원이다. 작년 이맘때 배추가 5000원했다. 가격이 매우 뛰었다고 한다. 시금치의 경우도 한 단이 작년에 4000원 하는 것이 지금은 7000원이다. 약 75%(포인트)정도 올랐다”면서 “원자재 가격이 뛰고 환율이 뛴 것은 알겠지만 소비자물가가 치솟고 있는 것을 체감하고 있는지 들고 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