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미국 등을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외교 행보를 두고 “빈손, 비굴 외교에 이어 막말사고로 국격이 크게 실추됐다”며 공세를 취했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22일 오전 정책조정회의에서 “과정도 결과도 굴욕적이었다. 흔쾌히 합의했다던 한일 정상회담은 구체적 의제조차 확정하지 않은 회동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그는 “회담 전부터 줄곧 일본으로부터 외면을 받더니 불쾌감을 드러냈던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만나지 말자고 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라며 “반면 일본은 북한과 조건 없이 만난다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이어 “오늘 새벽 일본 총리가 있는 곳으로 대통령이 직접 찾아가 가까스로 성사된 기껏 30분가량의 만남은 일방적 구애로 태극기 설치도 없이 간신히 마주 앉은 비굴한 모습에 불과했다”면서 “가장 중요한 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전은 전혀 없었다.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빈손 외교, 비굴 외교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얘기했다.
박 원내대표는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된 것에 관해서도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8초간 서서 나눈 짧은 대화가 설마 정상회담의 전부일 것이라고 믿고 싶지 않았다”며 “그게 전부라면 전기차 보조금 차별과 반도체·바이오산업 압력 등 누누히 강조했던 주요 경제 현안은 하나도 풀어내지 못한 것이라 참으로 걱정이다”고 설명했다.
또 “윤석열 정부의 빈손 외교, 비굴 외교에 이어 윤 대통령의 막말 사고 외교로 대한민국의 국격까지 크게 실추됐다”라며 “회의장을 나오며 비속어로 미국 의회를 폄훼하는 발언이 고스란히 영상에 담겨 대형 외교 사고로 큰 물의를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조문 외교라더니 정작 여왕 관 조문은 못하고, 일본 수상은 손수 찾아가 사진 한장 찍고, 바이든 대통령과는 스치듯 48초간 나눈 대화가 전부였다”면서 “왜 순방을 간 건지, 무엇을 위한 순방인지 의아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이 그토록 강조한 한미 가치동맹의 민낯과 사전 대응도 사후 조율도 못한 실무라인의 무능도 모자라, 대통령 스스로 대한민국 품격만 깎아내렸다”며 “정상외교의 목적도 전략도 성과도 전무한 국제 망신 외교참사에 반드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함께 “외교 라인의 전면적 교체가 불가피해 보인다”라며 “외교 실패는 정권 실패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우리 국민과 기업 전체에 고통 가져온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고 했다.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영국에 가선 조문 없는 조문 외교, 미국에 가서는 빈손, 굴욕, 막말 외교를 하고 있다”면서 “영국 여왕의 조문에 왜 불참했는지 여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보탰다.
김 정책위의장은 윤 대통령의 영국 순방 당시 일정으로 보이는 자료를 공개하기도 했다. 영국으로 출발하는 시간이 이틀 전 갑자기 2시간가량 늦춰져 조문을 하지 못하게 됐다는 취지였으며, 무속인의 영향을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전용기 민주당 의원도 “준비 안 된 순방을 여실히 보여주고 왔다. 조문 없는 조문 외교, 내용 없는 유엔 연설, 성과 없는 한일 정상회담, 48초 인사 한마디의 한미 정상회담”이라며 “국민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굴욕적 외교이며, 외교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크게 떨어뜨리는 모습만 보여주고 왔다”고 꼬집었다.
전 의원은 “안일한 발상과 행태로 국제사회의 망신만 당하고 국민까지 굴욕을 느끼게 하는 정부가 너무나도 실망스럽다”며 “윤 대통령이 외교를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나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외교 안보팀의 전반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영환 민주당 원내대변인도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의 미국 의회에 관한 발언이 담긴) 영상을 확인하며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며 “윤 대통령이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서도 이XX라고 지칭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대통령의 버릇이, 타국 의회를 향한 발언이 영상에 담기며 국격은 나락으로 떨어졌다”고 했다.
민주당 차원의 대책이 있을 것인지에 관한 물음엔 “모든 외교의 시간이 끝난 뒤 정부 측 설명이 있을 것”이라며 “그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통해 정확한 냉정한 평가 이뤄질 것이라 본다”고 답했다.
이 밖에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예산 편성에 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며, 조만간 의원총회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실과 경호처가 58억원의 추가 예산을 요청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대통령실 이전은 국민의 혈세를 흥청망청 쓰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국방부 장관이 3000억원까지 수정될 수 있다고 밝힌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이 있다. 정작 예산안에는 포함되지 않았는데, 꼼수로 끼워 넣을 셈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국민의 버팀목이 되는 민생 예산을 살려내기 위해 조만간 의총을 열겠다”며 “초부자 감세를 막고 영빈관 신축과 같은 국민 기만의 예산을 깎겠다”고 했다.
김 정책위의장도 “민생을 보살펴야 할 예산이 불필요한 대통령실 이전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해도 1700억원이 넘는다는 보도가 있다”면서 “앞으로 얼마나 더 예산이 들어갈지 국민들이 대통령 부부를 걱정하는 지경”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