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의예과 권택규 교수팀의 연구성과가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분야 탑저널인 “Cell Death & Differentiation” 및 “Redox Biology”최신호에 연달아 게재되었다. 권택규 교수 연구팀은 민경진 박사(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은우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공동 연구를 통해 Raptor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탈유비퀴틴화 효소인 OTUB1을 발굴하고, OTUB1의 26번 tyrosine 잔기의 인산화에 의해 Raptor 단백질 발현을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  Raptor 단백질 분해는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일으켜 기존 항암제의 항암효과 증대를 유도하므로 새로운 암치료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후속 연구로 OTUB1 인산화를 저해하는 peptide 개발해 내성암 치료용 peptide 항암제 개발과 TRAIL 매개의 암세포사멸 및 non-apoptotic 세포사멸 기전연구를 활발히 연구 중이며, 특히 리소좀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cathepsin 활성 조절을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방안과 종양 치료의 임상 적용에 대한 치료전략 제시를 최종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두 번째 성과는 카텝신 K 저해 시 p53의 C-말단(293-393) domain이 Sp1 전사인자의 안정화에 중요한 BAP1(deubiquitinase) 인산화와 Sp1 안전화를 유도하는 기전 규명에 관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카텝신 K 저해제가 기존의 항암제와 병용 처리 시 항암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  권택규 교수 연구실은 TRAIL 매개의 암세포사멸 및 non-apoptotic 세포사멸 기전연구를 활발히 연구 중이며, 특히 리소좀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cathepsin 활성 조절을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방안과 종양 치료의 임상 적용에 대한 치료전략에 대해서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최경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