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은퇴 후에도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노인들이 늘고 있지만, 노인 10명 중 4명은 팍팍한 생활을 하고 있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빈곤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1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전체의 17.5%를 차지했다.
한국 사회는 빠른 고령 인구 증가로 2025년이면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하는 소요 연수가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7년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35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기대여명은 2020년 기준 65세는 21.5년, 75세는 13.3년으로 전년보다 각 0.2년, 0.1년 늘었다. 기대여명은 기준 연령 후 몇 년을 더 살 수 있는지 계산한 평균 생존연수로 향후 65세 노인은 86.5세, 75세 노인은 88.3세까지 살 수 있다는 계산이다.일하는 노인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률은 34.9%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올랐다. 고령자의 고용률은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60.5%)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나 2015년 이후 상승 추세다. 실업률은 2018년까지 3% 미만을 유지하다 이후 계속 올라 2019년 3%를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실업률이 전년 대비 0.2%p 상승한 3.8%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