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 서비스 중단으로 카카오페이 등 일부 연계 금융서비스가 차질을 빚으면서 전자금융업자의 취약점이 다시 한번 대두되고 있다.
업권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 시대가 도래하면서, 비금융업자의 리스크가 언제든지 금융권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게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 서비스 장애로 주요 서비스가 중단됐던 카카오페이는 이날 오전 9시께 정상화했다.
앞서 지난 15일 판교 SK C&C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톡과 포털 ‘다음’을 비롯한 다수 카카오 서비스와 네이버의 일부 서비스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특히 카카오페이는 송금·결제 등 주요 기능이 지난 16일까지 먹통이 되는 등 심각한 장애를 겪었다. 카카오페이 서비스의 장애가 길어진 건, 카카오페이의 서비스가 화재가 발생한 SK C&C 데이터센터를 이용하는 카카오톡과 대부분 연계됐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카카오뱅크는 백업센터로 신속하게 데이터를 이관해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다”며 “카카오페이 역시 관련 서비스를 백업 데이터센터에 신속하게 이관했으나, 화재가 난 데이터센터에 있는 카카오톡 서비스와 연계된 게 많아 정상화가 더뎠다”고 말했다.
현재 금감원은 카카오 그룹 소속 금융회사의 소비자 피해 현황을 파악 중이다. 또 카카오 금융계열사가 비상대응 계획에 맞춰 조치를 신속히 진행했는지도 점검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금감원 점검을 통해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제도개선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갈수록 IT 기업 등 비금융업자가 금융업에 진출하거나, 반대로 금융사가 핀테크 등 혁신사업에 진출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고 있어 전자금융업자에 대한 금융사고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정부 때 비금융업자인 IT기업에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허가하는 과정에서 금산분리 논란이 나왔다. 비금융업자와 금융업자의 융복합 사업은 리스크가 쉽게 전이돼 동반 부실을 일으킬뿐더러, 대기업의 독과점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정부에서도 금산분리 완화를 중점으로 하는 금융규제혁신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 역시 리스크 확대 우려와 독과점 이슈가 나오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산업간 경계를 허무는 것은 시대상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또 한편으로는 리스크 대응에 철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비금융업종과 금융업종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전산 시스템 분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이러한 리스크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 금융당국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국가가 지향하는 금융혁신 정책은 계속 나아가야 한다”면서도 “비금융사와 금융사의 업무 과정에서 발행하는 리스크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비상대응 계획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