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재생에너지 구매와 투자비용이 높아, 국내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캠페인의 이행 인정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컨설팅 업체인 KEI컨설팅의 김범조 상무는 2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탄소중립 미래를 위한 RE100 국제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개최한 이 컨퍼런스는 국내·외 RE100 캠페인 이행 여건을 살펴보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국가에서의 효과적인 이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행사에는 RE100 캠페인 참여기업, 유관기관 등이 참여했다. 이날 김 상무는 제한적인 보급 여건으로 높은 재생에너지 구매·투자 비용이 국내 RE100 이행에 가장 큰 장애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이 같은 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이행 인정 기준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는 해외 대비 좁은 국토 면적, 높은 산지 비중, 고립계통 등으로 재생에너지 공급량과 가격 측면에서 RE100 이행에 불리하다고 평가받는다. RE100 캠페인을 주관하는 다국적 비영리기구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의 도날드 찬(Donald Chan) 아시아태평양권역 상무와 더클라이밋그룹(The Climate Group)의 마델린 픽업(Madeline Pickup) RE100 임팩트 매니저는 기후변화 대응 책무를 완수하기 위한 RE100의 역할을 강조하며, 한국의 이행 수준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 노력을 건의했다.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RE100은 국가별 재생에너지 가격 등이 상이하므로 국가별 여건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실시간 사용 전력의 무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CF100(무탄소 전원 100% 사용)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