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경찰이 제 역할을 했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취지로 답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7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이태원 참사 현안 질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천준호 의원의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적이 있느냐’는 질의에 “국민의 안전은 정부의 무한책임이라고 생각을 한다”며 “지금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희생자들에 대한 위로”라고 말했다. 천 의원이 재차 따져 묻자 “없다”고 답했다. ‘대통령실과 사퇴 여부를 두고 의논한 적이 있느냐’는 이어진 질문에는 “의논하지 않았다”고 했다. ‘빨리 사퇴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는 지적에는 “주어진 현재의 위치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천 의원의 ‘이태원 사고인가, 참사인가’ ‘사망자인가 희생자인가’라는 질문에는 “참사 수준의 사고”라며 “사망자라고도 할 수 있고 희생자라고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같은당 최기상 의원의 ‘정부, 지방자치단체, 경찰이 본연의 역할을 했다면 156분이 사망하지 않을 수 있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최종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서는 그런 판단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논란이 된 ‘우려할 만한 인파가 아니었다’ ‘경찰·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한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발언과 관련해서는 재차 고개를 숙였다. 이 장관은 “당시 기자가 경찰병력을 더 많이 배치했으면 사고를 막을 수 있지 않았겠느냐 이런 취지의 질문이었다”며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대비를 하고 재발을 막지 않겠는가, 그래서 성급한 추론을 하면 안 된다는 취지에서 말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잘못된 발언이고, 그 점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했다. 책임 회피성 발언이었다는 질타에는 “책임을 회피하거나 그럴 생각은 전혀 없었다”며 “어차피 정부가 모든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의 ‘핼러윈 행사 인원이 평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한 발언의 근거가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공식적으로 보고받은 바는 없고, 용산서에서 준비했던 자료가 보도된 게 있었다”며 ‘대체로 핼러윈데이 때 10년에 걸쳐서 10만명 가까운 인원이 모였다는 취지였고, 제 말씀도 매년 많은 인파가 모였다는 정도의 의미”라고 해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