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30일 “매일같이 반복되는 산재사고 현장을 싹 바꿔야 한다”며 노란봉투법 제정 촉구 농성에 돌입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국회 본관 앞에서 농성 돌입 기자회견을 통해 “노란봉투법 제정을 위한 농성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노동자들에게 자신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기업과 협상할 수 있을 권리를 지켜주고, 그 권리를 행사한 노동자들이 응징과 보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진짜 사장 책임법, 손배폭탄방지법이다. 노란봉투법은 우리 모두의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말했다. 이어 “한 달에 27일, 291시간 일해도 겨우 최저시급으로 230만  받던 대우조선하청 노동자들이 월급 10만원 올리기 위해 투쟁한 결과가 470억원의 손해배상”이라며 “노란봉투법은 쌍용자동차, 대우조선 하청노동자와 같이 힘없고 ‘빽’없는 노동자들이 스스로의 생존권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는 “노란봉투법에 무슨 이름을 붙이든 상관없다. 이제 때가 됐다”며 “오늘 진행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위원회에서 민주당의 의지를 보여달라. 성과 만들겠다고 한 그 약속, 결과로 보여달라”고 전했다. 국회 환노위 소속인 이은주 정의당 원내대표는 “노란봉투법 제정, 기다릴 만큼 기다렸다. 오직 노란봉투법 제정만을 바라보며 혹한의 시간을 버텨온 노동자들에게 이제는 국회가 분명한 답을 내놓아야 할 때"라며 "정의당은 그 첫 대답으로 노란봉투법을 오늘 있을 환노위 법안소위에 반드시 상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힘은 ‘불법파업조장법’이라는 억지 주장은 이만 내려놓고, 오늘이라도 법안소위 상정에 참여하라”며 “애꿎은 자본주의와 법치주의까지 들먹이는 국민의힘의 주장은 결국 국회가 불법 기업 방탄이나 해주자는 말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기국회는 노란봉투법 입법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저와 정의당은 19대 국회부터 지금 21대 국회까지 허비한 8년의 세월에 반드시 종지부를 찍겠다”며 “입법을 마치는 순간까지 이 자리를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