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 동의안 표결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계 간 대립이 점입가경이다. 비명계는 이재명 방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친명계는 다음에는 체포안에 대한 권고 당론을 정해야 한다고 맞섰다. 2일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선 이 대표 체포 동의안 표결 국면 후폭풍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이른바 ‘조직적 이탈’ ‘색출 분위기’ 등에 대한 평가도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비명 측에선 찬성 139명, 반대 138명, 기권 9명, 무효 11명으로 부결 처리된 이 대표 체포 동의안 표결 결과에 대해 수면 아래 기류가 있다는 방향으로 해석했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방탄 프레임에 갇혀 꼼짝달싹 못한다”며 “야당으로서의 존재 의미, 가치가 거의 없는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방탄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계속 이런 식으로 가고 내년 총선까지 이어진다면 어떻게 되는 건가 하는 위기의식, 총선이 다가오면서 절박감이 농도가 진해지고 이런 게 표결에 반영됐을 것”이라고 봤다.
조직적 움직임 관측에 대해선 “누가 수장이 돼 트리를 만들 정도의 것은 없다”면서도 “삼삼오오 모여 속내를 털어놓고 당의 미래, 정치 현안, 민주당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얘기하는 것이 소통과 교감”이란 언급을 했다.
또 “표결 후 소위 친명 쪽이란 일부 의원들이 공천권 보장을 거래하려다 안 되니 반란을 일으켰다, 비열한 트릭을 썼다. 이렇게 거북스러운 말들을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선이 되려면 경선과 본선 두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경선만 생각하면 지금 경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은 체제. 지금 체제에 가급적 협조하는 게 더 편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더해 “그런데 경선만 된다고 본선에 당선되는 건 아니지 않나”라며 “민주당 간판 달고 경쟁력이 담보될까 걱정하는 것이고, 고뇌의 흔적들이 표결 때 여러 가지로 발로됐을 것”이라고 봤다.
이상민 의원은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인터뷰에서 “물 위 얼음 조각보다 밑의 얼음 덩어리가 더 큰 게 평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평했다.
무효표가 다수 발생한 데 대해선 “의원들과 얘기하면서 가결도 반대하기도 그렇다, 무효 처리해야 하겠단 의사표시”로 추정하고 “여러 의원과 얘기하면서 들은 의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조직적 행동에 대해선 “증거가 없다”고 했으며 “어떤 사람 말을 듣고 가에서 부로, 부에서 가로 바뀐 건 없을 것”이라는 등 언급을 했다. 그는 본인이 체포 동의안 국면에서 ‘부결’ 발언을 했음을 상기하고 `반대하다 그러면 어떡하나, 무효표라도 해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전화를 받았다고도 했다.
이어 “법안 얘기할 때 찬반 권유를 받긴 하는데, 그 얘길 들었다고 그 말에 따라 무효를 하겠나”라며 “제가 정해진 제 생각대로 투표했던 거고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친명 측에선 조직적 움직임에 대한 의심과 함께 ‘배신’ 등 표현을 적용했으며, 지지자들의 분노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에 더해 “그런데 경선만 된다고 본선에 당선되는 건 아니지 않나”라며 “민주당 간판 달고 경쟁력이 담보될까 걱정하는 것이고, 고뇌의 흔적들이 표결 때 여러 가지로 발로됐을 것”이라고 봤다.
이상민 의원은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인터뷰에서 “물 위 얼음 조각보다 밑의 얼음 덩어리가 더 큰 게 평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평했다.
무효표가 다수 발생한 데 대해선 “의원들과 얘기하면서 가결도 반대하기도 그렇다, 무효 처리해야 하겠단 의사표시”로 추정하고 “여러 의원과 얘기하면서 들은 의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조직적 행동에 대해선 “증거가 없다”고 했으며 “어떤 사람 말을 듣고 가에서 부로, 부에서 가로 바뀐 건 없을 것”이라는 등 언급을 했다.
그는 본인이 체포 동의안 국면에서 ‘부결’ 발언을 했음을 상기하고 ‘반대하다 그러면 어떡하나, 무효표라도 해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전화를 받았다고도 했다. 이어 “법안 얘기할 때 찬반 권유를 받긴 하는데, 그 얘길 들었다고 그 말에 따라 무효를 하겠나”라며 “제가 정해진 제 생각대로 투표했던 거고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친명 측에선 조직적 움직임에 대한 의심과 함께 ‘배신’ 등 표현을 적용했으며, 지지자들의 분노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김용민 의원은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내분이 심각하거나 흔들리는 정도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조직적 움직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본다”고 했다.
또 “만약 진짜 이 대표를 흔들거나 리더십을 갖고 문제를 삼아 공천권을 확보하거나 당 내 새 리더십을 세우려 했다면 이 사람들은 찬성을 했어야 한다”며 “자기들 패만 들킨 것이기 때문”이라고 평했다.
아울러 “조직적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단 것을 당원들과 의원들, 지도부에 보여준 것이고 배신자 프레임을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다음 번 이런 시도는 차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차단 방식으론 추가 체포 동의안 국면 도래 시 ‘표결 보이콧’을 통해 정족수를 채우지 않는 방식을 거론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측은 “개인 의견”이란 입장을 보였다.
나아가 김용민 의원은 “당원들이 공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 문제의 본질은 반란이 아니냐보다 선출직들이 자기를 뽑아준 사람을 배신하는 행위에서 온다”고 주장했다.
김남국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표결 결과에 대해 “의원들이 자발적으로 몇몇이 생각해서 한 게 아니라 조직적으로 만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주장의 정당성과 의사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일방적으로 검찰 손을 들어준 것이고, 동지를 절벽에서 밀어버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