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제주 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안) 보고서를 송부하고 제주도에 의견 제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절차로 지난 6일 환경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이후 중단된 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재개함에 따른 조치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기본계획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에는 충분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돼 의견제출기한은 별도로 정하지 않았다. 다만 공항시설법상 의견제시 요청을 받은 관할 지방자치 단체장은 기본계획안을 14일 이상 주민이 열람하게 하고 주민 의견을 들어야 한다. 제주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우선 친환경 공항으로 건설·운영된다. 국토부는 조류 등 생물 대체서식지 조성과 탄소배출 최소화,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비롯해 최근 완료된 환경부 전략환결영향평가 협의 내용을 준수하고 평가 단계에서 환경영향 최소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제주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제2공항의 건설·운영에 지역이 참여하는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항’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제주 제2공항의 기본계획 수립시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쳐 향후 제주도에 동의 권한이 있는 환경영향평가시 철저한 검증을 실시할 방침이다. 사업 완료 시점은 착공 후 5년으로 계획했다. 오는 2055년 기준 제주지역의 전체 항공여객 수요 4108만 명으로 예상되며 이중 제주 제2공항은 1992만 명과 화물 12만t(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 제2공항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건설되며 사업비 총 6조6743억 원이 투입돼 활주로 (3200m×45m) 1본과 계류장(항공기 44대 주기), 여객터미널(16만7381㎡), 화물터미널(6920㎡), 주차장, 전면시설(교통센터 및 상업·문화시설, 친환경·항공산업 클러스터) 등이 설치된다. 이상일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정부에 제시한다면 충실히 검토해 기본계획에 반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