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옥포읍 간경리 일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제2국가산업단지인 ‘대구 미래 스마트기술 국가산업단지’로 최종 선정되자 대구지역이 “대구 굴기의 신호탄”이라며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산단 조성을 반대하고 나섰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신규 국가산단 조성사업비는 2조2000억원 정도이며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
현재, 대구시는 다수의 산단 개발 경험이 있는 LH, 대구도시개발공사와 심도 있게 사업시행에 대해 협의 중에 있으며 다음 달까지 사업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사업시행자가 정해지면 예비타당성 조사, 산업단지계획 수립, 관련 행정절차 등을 거쳐 2026년부터 보상과 공사를 시작하고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 미래 스마트기술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로는7조4400억원의 직접 투자 및 18조63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2만여명의 직접 고용 및 6만3000여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하지만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통해 “대구시 화원읍 옥포읍 일대는 낙동강 바로 옆 농경지들이다”며 “이 일대 새로운 국가산단이 들어서면 그 오염부하가 낙동강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다. 식수원 상단에 거대 규모의 산업단지가 웬말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가뜩이나 낙동강에는 지금 20개나 되는 국가산단이 들어서 있다. 1300만 식수원 낙동강을 생각할 때 있을 수 없는 일로, 있는 산단도 줄여야 할 형국에 새로운 산단을 들인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또 과거 좌초 경험이 있는 대구시 달성군의 낙동강변의 위천공단 조성을 예로 들며 “당장 부산·울산·경남에서 가만있지 않을 것이다. 대구제2국가산단은 남남갈등만 유발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구국가산단(1차)도 낙동강 바로 옆에 위치해 욕심이 지나치단 비판을 들어왔는데, 제2국가산단마저 낙동강에 입지시킨다는 것은 대구의 탐욕으로 비치기 쉽다”며 “낙동강변 대구제2국가산단을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