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민단체가 환자를 수용할 병원을 찾지 못해 119구급대가 떠돌아다니는 속칭 ‘응급실 뺑뺑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절부와 대구시를 향해 제도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에서는 지난달 중순 10대 학생이 응급실을 전전하다 숨진 사건이 발생해 환자를 받지 않은 병원들은 물론 보건당국을 향한 비난이 빗발쳤다. 결국 6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과장들이 회의를 통해 응급환자의 수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병원 선정 권한을 119구급대에 부여하기로 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이하 복지연합)은 26일 논평을 통해 “이 같은 합의는 법적, 제도적 구속력은 없지만, 대구 사건 등에서 드러난 시스템 허점을 개선하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복지연합에 따르면 환자를 수용할 병원을 찾지 못해 119구급대가 떠돌아다니는 현상은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국에서 비일비재하게 발생해 온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복지연합은 “응급환자 이송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 이유는 119구급대가 환자를 수용할 병원을 찾지 못해 떠돌기 때문”이라며 “이송할 병원 못 찾는다고 치료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하고 숨진다는 것은 시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국가가 제도적 시스템 허점을 그동안 방치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구의 대형병원들이 각 병원의 사정에도 불구하고 응급환자 이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19구급대가 선정한 병원이 책임을 지고 환자를 받겠다고 결단한 만큼 이제는 제도개선을 위해 중앙정부와 대구시 등 관련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 결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대구시를 향해 응급환자 이송 컨트롤 타워 설치 및 권한의 제도적 부여, 배후 진료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필수의료 의료진 부족 현상 해소, 응급실 과밀화 해소 특단의 조치 등을 요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