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가 주중 한국대사를 초치해 최근 한국이 싱하이밍 중국대사를 초치한 것과 관련해 ‘심각한 우려와 불만’을 나타냈다.
중국 외교부는 농롱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가 지난 10일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를 만나 현재 한중 관계에 대한 중국의 견해와 입장을 설명했다고 11일 밝혔다.
농 부장조리는 “한국은 현재 한중 관계의 문제점을 깊이 반성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한중 수교 공동성명 정신을 성실히 준수하고 중국과 중간에서 만나길 바란다”며 “양국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공동으로 긍정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싱하이밍 대사의 직무는 한국 각계각층 인사들과 폭넓게 접촉하고 교류하는 것”이라며 “싱하이밍 대사의 직무는 한국 각계각층 인사들과 폭넓게 접촉하고 교류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만남을 웨젠(約見)이라고 표현했다. 중국 용어에 초치가 없는 만큼, 통상적으로 회동을 약속하고 만난다는 웨젠을 초치로 해석한다.
이에 주중국대사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정 대사는 10일 중국 측 요청으로 농 부장조리를 면담했다”며 “주한중국대사가 8일 우리나라 야당 대표와의 회동을 계기로 외교 관례에 어긋나는 비상식적이고 도발적이며 사실과 다른 언행을 한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엄중한 항의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 대사는 또 상호존중과 호혜, 공동이익을 기반으로 한중관계가 건강하고 성숙하게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양측의 공동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며 “이를 위해 한중 간 더욱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고 전했다.
앞서 싱하밍 대사는 지난 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나 A4 용지 5장 분량의 원고를 꺼내 들어 약 15분간 윤석열 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해 비판했다. 당시 싱 대사는 “미국이 전력으로 중국을 압박하는 상황 속에서 일각에서 미국이 승리하고 중국이 패배할 것이라는 베팅을 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판단이고 역사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한중 관계가 많은 어려움에 부딪혔다. 저는 이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가슴이 아프다”면서도 “솔직히 그 책임은 중국에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장호진 외교부 제1차관은 지난 9일 싱 대사를 청사로 불러들여 “주한대사가 다수의 언론매체 앞에서 우리 정부 정책을 비판한 건 우리 국내 정치에 개입하는 내정간섭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