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은 최근 생산, 소비, 수입, 부동산가격 등 주요 실물경제 지표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용과 설비투자 지표는 증가 추세다.
6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의 ‘최근 대구·경북 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5월 대구·경북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6.3%, 전월대비(계절조정기준)로는 0.8% 각 감소했다.
5월 대형소매점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4.2% 줄었다. 수출은 5.2% 증가했으나 수입은 1% 감소했다. 이차전지 생산용 소재, 장비 생산업체의 지역 내 투자 확대로 설비투자지표인 기계류 수입(승용차 제외)은 전년동월대비 6.6% 증가했으나 건설투자지표인 건축착공면적은 전년동월대비 76.6% 줄었다.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4만2000명 증가했고, 증가폭은 전월 3만2000명에 비해 소폭 확대됐다. 고용률은 63.5%로 전년동월대비 1.2%포인트(p)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대구가 6월 2.7%를 기록하며 전월 3.2% 대비 0.5%p 하락했다.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하락 중이며 4월(3.8%)에는 15개월 만에 3%대에 들어섰고 6월에는 21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경북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2.1%를 기록해 전월 3.1% 대비 1%p 떨어졌다. 지난해 7월(7.4%) 정점을 찍고 서서히 둔화다가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하락 중이다. 4월에는 3.5%를 기록해 2021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3%대에 들어서기도 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5월 대구와 경북이 전월대비 0.6%, 0.2% 각각 하락해 지난 1월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폭이 축소되는 추세다. 대구·경북 미분양주택은 5월 말 기준 2만1372가구로 전국(6만8865가구)의 31%에 해당한다. 전월과 비교하면 534가구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는 295가구, 경북은 239가구가 각각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