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상습 농경지별 침수 원인을 조사·분석해 맞춤형 개선계획을 별도 수립하라.수해 때마다 중장비 몇 대로 토사를 퍼내는 땜질식 응급처방이 아닌 계속적 관리와 항구적 복구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김홍구<사진> 경북도의원이 한 말이다.김 도의원은 지난 6일 열린 경북도의회 제349회 임시회 본회에서 작심한 5분 자유발언이다.그는 5분 자유발언에서 도내 농경지 상습 침수 문제 해결을 위한 경북도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김 도의원은 “농경지 침수는 늘어나는 유속과 유량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한 노후 배수가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노후 수리시설의 재설계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김 도의원에 따르면, 도내 수리시설 1만6145개소 중 약 66%인 1만691개소가 준공 30년 이상 된 노후화한 시설들이다. 이 중 50년 이상은 3347개소, 1945년 해방 이전에 지어진 무려 70년 이상 된 시설도 3896개소나 된다.더 큰 문제는 배수개선사업 등 농업생산기반시설 유지보수에 매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듬해 또다시 침수 농경지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그는 도내 수리시설 유지·관리 업무 및 예산 편성의 일원화 방안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현재 양·배수장, 저수지, 보 등과 같은 수리시설은 시·군 지자체와 농어촌공사가 각각 나눠 관리하고 있다.김 도의원은 “수리시설 관리주체가 다르고, 배수시설 유지관리 예산도 제각각이다 보니 농경지 침수 때마다 일관된 장기 계획이 아닌 일회성 응급 복구에만 그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김 도의원은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빈틈없는 예방책이다. 농민들이 마음 편히 농사에 전념하도록 경북도 차원의 적극적인 행정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