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지사는 10일 서울 포시즌즈 호텔에서 열린 2024 시도지사 정책콘퍼런스에 참석, 지역경제 활성화 자리에서 경북도의 성공 사례인 ‘K-농업대전환’에 대해 발표했다.‘대한민국의 미래, 지역에서 답을 찾다’는 구호로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에서 주최한 이번 행사는 12명의 시도지사가 참석했다. ‘지역 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 이라는 주제로 각 시도지사가 지역에서 추진한 대표 사례를 통해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자리를 가졌다.회의는 미국 전미주지사협의회(NGA)의 연례 총회를 벤치마킹해 시도지사가 국정운영의 동반자로서 지역 아젠다를 실현할 비전을 제시, 대국민 정책홍보를 목적으로 시도지사협의회 설립 이후 처음으로 기획됐다.프로그램은 총 4개 세션으로 구성, 기조 세션과 인구감소 대응 세션, 지역경제 활성화 세션, 제도개선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세션 발표에 앞서 열린 개회식에서는 △인구소멸 대응과 청년 유출 방지 △지역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 △지방자치 강화와 중앙-지방 협력 등의 내용으로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전국 시도지사 공동선언문을 발표하여 저출생, 고령화 등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시도지사가 중심이 돼 대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했다.이 지사는 "지역경제 활성화 세션에서 대한민국과 지역의 인구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 경북도가 농업 분야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해 성공시킨 농업대전환"을 소개했다.이 지사는 “K-농업 대전환은 ‘농민은 땅도 있고 일도 열심히 하는데 왜 도시 근로자 보다 못 사는가’ 라는 고민에서 시작된 농업 분야의 대대적인 혁신 사례로 규모화, 기계화, 첨단화를 통해 농업의 근본적인 틀을 바꾸는 사업이다”라고 말하며 대표적 사례인 문경 영순지구를 소개했다.문경 영순지구는 전국 최초로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모델을 도입, 공동영농으로 노동력은 적게 들고 농업소득은 2배가 된 성공 사례로 소득증대에 따른 농민들의 만족도가 높다.농식품부에서 이 사례를 우수 사례로 보고 공동영농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용역도 추진,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대하면 제2의 농지개혁만큼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 지사는 “앞으로 경북도는 농업, 산림, 수산 등 각 분야에서 기존의 틀을 깬 대전환으로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