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삿돈이 개인 돈으로 둔갑했다.한국수력원자력에서 이어폰과 찜질기 등 개인용품을 구입하는데 일부 직원들이 회삿돈을 써 온 사실이 드러난 탓이다.한수원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도를 넘어선 꼴이다.이 사실은 박상웅<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서 확인됐다.자료에 따르면 한수원은 가전과 의류, 신발류 등 업무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물품 4만2000여개를 구입하는 데 29억9000여만원을 지출했다.해당 물품들은 이어폰·찜질기·스마트워치·전동칫솔 등 업무 연관성이 모호한 것들이었다.한수원 감사실이 사적유용으로 확인한 품목 1025개, 1억8000여만원에 대해서만 환수 조치했다.하지만 220명에게는 최대 감봉 1개월 처분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28억이 넘는 나머지 물품들은 공적 용도로 구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괄적으로 `개선명령`을 내렸다.등산복·스마트워치·전동칫솔 등 명확한 기준이 없다보니 동일한 종류의 품목임에도 환수조치 결과가 달라지는 등 감사시스템의 허술함이 드러났다.한수원 감사실은 2022년 1월부터 20개월 간 회계 전표를 조사하고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지만 감사실 인력부족 등 한계로 추가 감사 계획을 세우지 못하는 실정이다.때문에 언제부터 얼마나 많은 회삿돈이 개인물품을 구입하는 데 쓰였는지 가늠할 수 없어 기간에 따라 수백억원이 사적유용 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박상웅 의원은 "이번 사태는 공공기관의 도덕적 해이 수준을 넘어 국민혈세를 `쌈짓돈`처럼 사적으로 유용한 범죄행위와 다름없다"고 꼬집었다.그는 "부적절한 예산 사용이 더 없었는지 내부감사를 통해 명명백백하게 가려내야 하고, 무분별한 예산 남용을 막을 명확한 법적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