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도민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전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경북도는 `2023년 경상북도 사회지표`를 지난 달 31일 공표했다.`경상북도 사회지표`는 사회조사로 도민의 주관적 인식과 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각종 행정자료를 수집 및 재가공해 작성한 통계다.경북도는 지난해 8월 24일부터 9월 8일까지 도내 1만9692 표본가구에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11개 부문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조사 결과 도민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2022년 5.91점에서 지난해는 6.09점으로 높아졌다.경북도민들의 도정 정책에 대한 만족도 비율은 2022년 15.9%에서 2023년 17.4%로 높아졌으며, 행정서비스 만족도는 2022년 17.6%에서 지난해는 19.3%로 증가했다.일자리에 대한 인식은 `충분하지 않다` 46.6%, `충분하다` 18.8%였으나, 일자리 상황에 대한 전망은 `나아질 것` 26.8%, `나빠질 것` 18.3%로 긍정 전망이 더 많았다.부모 부양 책임자는 `부모님 스스로`가 65.4%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 대비 4.3%p 증가한 것이다.고등학생의 월평균 공교육비는 9.2만원, 사교육비는 52.5만원으로, 전년 대비 공교육비는 1.7만원 줄었으나 사교육비는 6.9만원 늘었다.사회안전에 대해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7.5%로 전년 대비 0.8%줄었다.문화예술체육행사 관람률은 40.3%로 전년보다 10.1%p 늘었다.이정우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경상북도 사회지표는 도민 중심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된다"고 밝혔다.경상북도 사회지표의 자세한 내용은 경상북도 누리집 및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