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가 포항제철소를 향해 안전대책 마련하라고 강도높게 주문했다.단체는 "사후 정비 근절하고, 예방 정비 정착해 제철소 안전대책 마련하라"고 목청을 높였다.포항환경운동연합은 11일 이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이들은 지난 1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화재 발생과 관련,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 공장에서 난 폭발·화재 사고는 지진 같은 굉음이 잠든 시민들을 깨워 불안에 떨게 했다"고 포문을 열었다.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12월23일 2고로 주변의 화재로 2~4고로 가동이 중단된 지 1년 만에 또다시 사고가 난 것"이라며 "지난 9월 말에는 최근 대대적인 개·보수로 한 후 가동을 시작한 4고로도 쇳물 배출구가 막히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환경운동연합은 "포항제철소의 사고들이 잇따라 발생, 항상 폭발과 화재를 동반하며 불꽃과 검은 연기가 치솟아 시민들이 고스란히 그 피해를 떠안아 왔다"고 주장했다.이들은 "포항제철소의 크고 작은 사고는 잦지만, 그 원인과 개선 결과가 지역 사회에 공유되거나 진정성 있는 사과 한번 한 적이 없다"고 뼈있는 말을 했다.환경단체는 "원가 절감을 이유로 사후 정비가 관행으로 정착돼 현장의 상황을 여러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원가 절감을 위해 안전 설비 투자는 등한시하고 예방 정비를 하지 않는 사후약방문식 사후 정비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단체는 "포항제철소는 매번 사고 때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고, 불안 속에 살아야 하는 포항 시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라"고 요구했다.이들은 "제철소의 사후 정비를 근절, 예방 정비를 정착시키기 위한 인식 개선과 안전 설비 투자를 확대하라"고 했다.환경운동연합은 "경찰과 소방 당국, 경북도와 포항시는 철저한 조사로 이번 화재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낱낱이 밝혀라"고 주문했다.이들은 그 개선과 재발 방지를 약속하고, 환경과 안전, 지역 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해 ‘포항제철소 환경개선 민·관 협의회’를 구성, 2009년 폐쇄한 대구환경청 포항환경출장소를 부활해 관리 감독을 강화하라"고 밝혔다.
이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