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추진하는 기후대응댐 관련 첫 공청회가 18일 대구에서 열린 가운데 지역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감천댐반대대책위원회 등은 이날 오후 공청회가 열리는 엑스코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는 낙동강권역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공청회 취소하고 신규 댐 추진 계획 전면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단체는 "환경부는 불도저 행정 그만하고 민주적 절차를 지켜라"며 "주민 간 갈등의 골만 깊어져 가는 공동체 파괴와 주민 공감대 없는 감천댐 등 신규 댐 추진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그러면서 "환경부가 전념해야 할 것은 막무가내식 토목공사가 아니라 진실로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더 이상의 자연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면서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방법 즉 자연기반해법(NBS)에 근거한 자연의 복원과 보전이어야 한다"고 했다.공청회는 이날 대구에서 낙동강권역을 시작으로 20일 서울에서 한강권역, 22일 대전에서 금강권역, 25일 전남 광주에서 영산강·섬진강권역 순으로 진행한다.앞서 환경부는 지난 7월 기후대응댐 14개를 짓겠다고 발표하고 관련 절차를 이어오고 있으나 지천댐(충남 청양군), 수입천댐(강원 양구군), 단양천댐(충북 단양군), 동복천댐(전남 화순군) 4곳은 주민 반발이 심해 후보지에서 일단 제외했다.△운문천댐(청도) △감천댐(김천) △옥천댐(순천) △병영천댐(강진) △고현천댐(거제) △가례천댐(의령) △산기천댐(삼척) △아미천댐(연천) △회야강댐(울주군) △용두천댐(예천) 등 10곳은 하천유역수자원관리 계획(안)에 후보지로 반영해 건설을 추진 중이다.공청회 이후에는 지역수자원관리위원회 자문, 유역별 하천유역관리협의회 보고, 물관리기본계확과의 부합성 심의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후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 최종 심의를 받아 계획안이 확정된다.환경부는 이달까지 계획안을 확정해 고시한 뒤 다음 달부터 10개 댐의 기본구상을 위한 용역을 시작한다.대구시는 이날 공청회 진행 중 소요 사태가 발생한다면 중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황태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