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대표 선도도시 포항시가 세계 배터리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산학연관의 정책과 전략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시는 올해 5회째를 맞는 ‘배터리 선도도시 포항 국제 컨퍼런스’를 22일 포스코국제관 국제회의장에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개최했다.이날 행사에는 이강덕 포항시장을 비롯해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칼 울르프 안데르손 주한스웨덴 대사, 이정우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 손희권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부위원장,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 삼성SDI 고주영 부사장 등 국내외 산학연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이날 컨퍼런스에 앞서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해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차 핵심부품의 순환이용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규제자유특구의 신규 지정을 위한 관련 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기조 강연에 나선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K배터리사의 캐즘 극복 전략과 배터리 개발 전략 및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SDI의 배터리 추진 전략과 기술을 발표했다.이어진 2부에서는 서현준 포항시 배터리첨단산업과장이 ‘한국 배터리 산업의 중심 포항’을 주제로 지난 10년간 추진해 온 포항시 배터리 산업의 발자취와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3부에서는 정성균 UNIST 교수가 ‘고안정성 전고체전지 개발을 위한 연구 및 기술 동향’을, 고려대 문준혁 교수가 ‘리튬-황 전지의 이해 및 동향’, POSTECH 이상민 교수가 ‘POSTECH의 차세대 음극재 소재 연구 개발 동향’을 발표하면서 미래 이차전지산업의 기술과 전략을 소개했다.이강덕 시장은 “내년에는 2025 APEC에 발맞춰 경북 배터리 엑스포를 개최해 지역 이차전지 산업을 더욱 부각시키겠다”며 “이차전지 기업과 산학연 연대와 협력으로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포엑스 준공 시 글로벌 배터리 도시 포럼을 출범해 해외 도시들과 국제적 연대 협력을 추진하는 등 피부에 와닿을 수 있는 산업정책 추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