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전국회의가 올해 전국에서 가장 먼저 경북을 찾아 25일 경북도청에서 `지방분권전국회의 분권개헌 포럼`을 가졌다.포럼을 주최한 지방분권전국회의는 2019년 시도별 분권운동단체가 연합해 출범한 단체로, 주권자 중심의 지방분권운동과 주민 주도의 지역살리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포럼에는 이철우 도지사와 경북도시장군수협의회 김주수 회장(의성군수), 경북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이동협 회장(경주시의장),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유민봉 사무총장과 지방분권전국회의 이창용 상임대표를 비롯한 60여 명의 지역대표와 회원이 참가했다.지방분권전국회의 이창용 상임공동대표는 "이철우 도지사가 중앙의 정치무대와 지방행정을 두루 경험하시며, 지방분권을 위해 노력해 오신 것을 잘 알고 있다. 특히 광역 시도 통합으로 연방제 수준의 자치권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 지방분권전국회의가 지향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며 경북에서 이 포럼을 가장 먼저 하고 이철우 도지사를 고문으로 위촉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이철우 지사는 2017년 국회의원으로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며 개헌을 통한 대통령제 개편과 지방정부 권한 강화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한 바 있다.경북지사로 취임한 이후에는 지방분권의 일환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를 시작했고 전국 최초로 지방시대정책국을 신설해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개발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때는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제2의 국무회의 수준으로 격상시키며 중앙과 지방의 수평적 관계 정립을 위해 노력했다.이 날 지방분권전국회의는 "현재의 중앙집권적 국가운영시스템은 수도권 집중, 지방소멸, 인구 절벽, 양극화, 정치 갈등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방분권 개헌으로 국가운영체계를 혁신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특히 "법률제정권 이양과 국민발안제 도입 등으로 지자체의 입법권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 같은 내용의 분권개헌 추진선언문을 채택했다.조여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